소말리아에 대하여
예로부터 소말리아는 고대 세계의 상업 중심지였다. 고대 이집트, 페니키아, 미케네에서 유향, 몰약, 향신료는 귀중품으로 여겨졌는데, 소말리아의 선원과 상인들은 교역을 통하여 이를 공급하였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고대 소말리아 땅에 고대 푼트 왕국이 있었다고 한다. 고대 푼트인들은 파라오 사후레와 하트셉수트 시대에 이집트와 밀접한 관련을 맺었다. 소말리아에 있는 피라미드 건물, 신전, 돌로 지은 가옥도 이 시대의 것이라고 한다. 고전기에 사바 왕국과 경쟁하던 오포네(Opone), 모실론(Mosyllon), 말라오(Malao)같은 고대 도시국가와 파르티아, 악숨은 부유한 인도-그리스-로마간의 교역으로 소말리아에서 번성하였다.
소말리아에서 홍해 너머 아랍에서 이슬람이 발흥하면서 아라비아 반도에 살던 소말리아 상인, 선원, 거류민들이 점차 교역 상대인 아랍인 무슬림을 통하여 새 종교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이슬람이 발생하고 수백 년 동안 이슬람 세계에서 소말리아로 무슬림이 이주하고, 이후 소말리아의 무슬림 학자가 소말리아 사람을 평화적으로 개종시키면서, 고대 도시국가는 이슬람화되어 베르베리(Berberi) 문명의 일부를 이룬 모가디슈 ,베르베라, 제일라, 바라와, 메르카가 되었다. 모가디슈 시는 "이슬람의 도시"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수백 년간 동아프리카의 황금 무역을 장악하였다. 중세 시대에 여러 강력한 소말리아 제국들은 지역 교역을 지배하였는데, 수로 공학과 요새 건축이 뛰어났던 아주란 왕국(Ajuuraan State) 과 아흐메드 구레이(Ahmed Gurey) 장군이 에티오피아 제국을 정복하면서 아프리카에서 처음으로 대포를 쓴 바 있는 압달 술탄국, 소말리아인 술탄 아흐메드 유수프에 공물을 바쳐 라무(Lamu) 시 북쪽 오마니 제국을 군사적으로 지배한 겔레디 술탄국 등이 바로 그러하였다. 19세기 말 베를린 회의가 끝나자 유럽 제국주의 국가들은 아프리카의 뿔로 항해하여 군대를 이끌고 왔다. 소말리아에 제국주의의 기운이 엄습하면서 데르비시 지도자 무함마드 압둘라 하산은 위기를 느끼고 아프리카의 뿔 지역의 소말리아 병사를 모아 기나긴 반식민 투쟁을 전개하였다.
소말리아는 공식적으로 식민지화된 적이 없다. 데르비시 국가는 대영 제국을 네 번이나 격퇴하여 해안 지역에서 철수하게 하였다. 데르비시 국가는 중동과 유럽에서 명성을 얻어 오스만 제국과 독일 제국의 동맹이 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아프리카 대륙에서 유일하게 독립한 무슬림 국가로 남았다. 영국이 만(灣)을 점령한 지 25년 만에 1920년 영국이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비행기를 이용하여 데르비시의 수도 탈레흐(Taleh) 폭격하여 결국 데르비쉬를 패퇴시켰다. 이 폭격으로 과거 데르비시 영토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이탈리아도 영국처럼 소말리아 술탄과 군대의 저항에 부딪혔는데 1927년 말 파쇼 정권이 집권하고 나서야 오늘날 소말리아 땅의 일부 지역을 완전히 장악할 수 있었다. 이탈리아의 점령은 1941년까지 지속되었으며, 이후 영국의 군정하로 넘어갔다. 남부 소말리아가 신탁 통치를 받을 때 북부 소말리아는 보호령 상태였다. 1960년 두 지역이 통합하여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이 탄생하였다.
1960년에 영국과 이탈리아로부터 독립하였다. 하지만 1991년 내전 때문에 혼란이 발생하였고, 아프리카에서 가장 못 사는 나라가 되었으며 유엔 평화 유지군이 파견되기도 하였다. 1993년에 대한민국이 평화유지군 파병으로 소말리아를 지원해 준 적도 있었다. 영국의 식민지였던 북부는 소말릴란드가 독립을 원하고 있으나,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현재 유일한 합법 정권인 과도 정부와 반군 세력의 대립이 계속되고 있다.
2012년 8월 20일 과도 정부 체제를 끝내고 헌법과 의회제도를 도입하여 소말리아 연방 공화국으로 출범하였고, 9월 10일 하산 셰흐 마하무드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9월 16일 공식 취임하였다.
'여러가지 일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전쟁의 기나긴 역사의 시간. (0) | 2017.02.17 |
---|---|
오버워치는 어떤 게임인가? (0) | 2017.02.17 |
말레이시아의 역사 (0) | 2017.02.17 |
김정일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17.02.17 |
까치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0) | 2017.02.16 |